top of page



기업 메세나 활동, 세제지원 확대로 활성화해야
메세나(mecenat)는 고대 로마의 정치가 가이우스 마에케나스가 당대 예술가들과 친교를 맺으며 예술 창작 활동을 적극적으로 후원한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오늘날에는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 활동을 뜻하는 용어이다. 코로나19 펜데믹은 문화예술계에도...
주열 유
2023년 4월 14일
79


한일협력과 한국경제의 미래
지난 3월16-17일 한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일관계가 정상화의 단계로 접어들었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채택하는 외교문제에 대한 사법자제(judicial self-restraint)의 원리에서 벗어난 대한민국 대법원의 판결로 인해 한일관계는...
주열 유
2023년 3월 24일
17


반도체 산업 경쟁력 제고 및 투자환경 개선해야
최근 글로벌 경기가 위축되고 코로나 규제가 완화되면서 PC나 TV 등의 제품의 수요가 감소하여 반도체는 초과공급 상태로 재고가 1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쌓이고 있다. 2022년 하반기부터 메모리 반도체 가격하락, 수요부진 등 대내외 경제환경이...
주열 유
2023년 2월 3일
11


한국의 운명적 현실과 3대 개혁의 필요성
윤석열 정부는 2023년 대통령 신년사를 통해 노동·교육·연금 3대 개혁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하였다. 이 3대 부문에 대한 개혁의 시급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제기되어 왔었지만, 정권의 입장에서는 정치적 득(得)보다 실(失)이 클 수 있는...
주열 유
2023년 1월 13일
4


노인 일자리 사업의 바람직한 개편 방향
윤석열 정부의 첫 예산안 심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법정 시한이 내달 2일로 다가왔다. 야당 쪽에서는 윤석열 정부가 편성한 내년도 예산안에서 노인 일자리가 감소한다며 “패륜 예산”이라 평가절하하고 이를 막겠다고 벼르고 있는 형국이다. 가뜩이나...
주열 유
2022년 11월 28일
6


한국경제: 이대로 일본의 전철을 밟게 되나
새정부가 들어선지 150일을 넘어 200일을 바라보고 있다. 정권이 교체되고 통상 이맘때쯤이면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로드맵이 선명해지고, 그에 따라 경제주체들의 인식 속에 경제회생에 대한 기대감이 살아나기 마련인데 현재의 상황은 정반대의 모습인...
주열 유
2022년 10월 31일
10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