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17년~’21년), 한류의 경제적 효과(생산유발) 37.0조원
「한류 확산의 경제적 효과 추정」
- [한국의 문화적 영향력] 세계 31위(’17년)→7위(’22년), 5년만에 24단계 도약- [수출, ‘17년~‘21년 연평균] 한류 품목 수출증가율, 총 수출증가율의 약 2.5배 한류 품목(화장품·음악·방송 등) 수출증가율 13.7% vs. 총 수출증가율 5.4%- [한류 경제적 효과, ‘17년~‘21년] 생산유발 37.0조원, 부가가치유발 13.2조원 (소비재) 생산유발 30.5조원, 부가가치유발 9.9조원 + (문화콘텐츠) 〃6.5조원, 〃3.3조원- [한류 확산 지속 과제] 금융지원·인프라 확충 통해 기업의 문화콘텐츠 투자 확대 유도
지난 5년간(’17~’21년주1)) 화장품·음악·방송 등 한류 밀접품목(이하 ‘한류 품목’)의 수출이 급증하면서, 한류의 경제적 효과가 생산유발액 기준 총 37.0조원에 달한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한류 확산의 경제적 효과 추정’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 주1) 한국 문화콘텐츠(음악·방송·게임 등) 수출금액의 가용 최신통계(문화체육관광부 집계)가 ’21년이기 때문에, 한류 관련 수출증가로 인한 경제효과도 ’21년까지 추산
글로벌 한류 열풍, 한국 문화적 영향력 24단계 급등(세계 31위(’17년)→7위(’22년))
2018년부터 비영어권 가수 최초로 5년 연속 글로벌 아티스트 차트 TOP 10에 진입주2)한 BTS, 2021년 방영되어 94개국에서 시청률 1위를 기록한 오징어게임 등 글로벌 한류의 열풍으로 한국의 문화적 영향력이 급신장하였다.
* 주2) BTS의 글로벌 아티스트 차트 세계 순위(아티스트가 창출하는 수입에 기반하여 국제음반산업협회가 선정):2위(’18년) → 7위(’19년) → 1위(’20년)→ 1위(’21년)→ 2위(’22년)
미국 U.SNews·와튼스쿨의 ‘글로벌 문화적 영향력주3) 랭킹’에 따르면, 한국 문화가 국제적으로 미치는 파급력은 2017년 세계 31위(80개국 중)에서 2022년 7위(85개국 중)로 5년 간 24단계 급등했다.
* 주3) 문화·예술 분야에서의 국제적 영향력과 브랜드파워 등을 평가하는 지표
K-뷰티, K-푸드 등 한류 품목 수출증가율 13.7%, 총수출 증가율의 2.5배
한국 문화가 전세계로 확산되면서 음악·방송 등의 문화콘텐츠 수출이 확대된 것은 물론, 국가브랜드 제고로 화장품(K-뷰티)·가공식품(K-푸드) 등 한류와 밀접한 소비재 수출 역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지난 5년간(’17~’21년), 이들 한류 품목의 연평균 수출증가율은 13.7%로 같은 기간 국내 전체 수출액의 연평균 증가율 5.4% 대비 약 2.5배 수준이다. 한류 품목의 부문별 수출증가율은 ?문화콘텐츠주4) 15.7%(음악 11.9%, 방송 11.8% 등), ?화장품 16.6%, ?가공식품 7.8% 등이다.
* 주4) 문화콘텐츠 수출금액은 음악·방송·게임·영화 등 총 11개 콘텐츠 관련 산업 수출금액의 합산으로 문화체육관광부의 ‘콘텐츠산업조사’ 통계를 활용
한류 경제효과, 생산유발 37.0조원, 부가가치유발 13.2조원, 취업유발인원 16.0만명
한경연이 통계모형과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하여 한류의 경제적 효과를 추산주5)한 결과, 한류 확산이 최근 5년(’17~’21년) 동안 소비재·문화콘텐츠 수출 신장을 통해 유발한 국내 생산액은 총 37.0조원에 달했다. 이 중, 30.5조원은 소비재 수출 증진, 6.5조원은 문화콘텐츠 수출 증진을 통해 발생했다.
* 주5) 경제적 효과 추산의 구체적인 내용은 유첨 ‘분석방법 및 분석결과’ 참조
최근 5년간(’17~ ’21년) 한류가 창출한 부가가치액은 총 13.2조원으로, 소비재 수출 증가로 9.9조원, 문화콘텐츠 수출 증가로 3.3조원이 각각 유발되었다. 한류는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했다. 최근 5년간(’17~ ’21년) 한류 확산에 따른 총 취업유발인원은 16.0만명으로, 이중 11.6만명은 소비재 수출 증가로, 4.4만명은 문화콘텐츠 수출 증가로 유발되었다. 전체 취업유발인원 16.0만명은 2022년 국내 총 취업자 수 증가 폭(81.6만명, 통계청)의 5분의 1(19.6%)에 해당하는 수치다.
금융지원 확대와 인프라 확충 통해 기업의 적극적인 한류 콘텐츠 제작 유도 필요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한류는 문화콘텐츠 수출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의 한국 제품 선호도를 높임으로써 소비재 수출에도 기여하는 등 그 경제적 가치가 상당하다”며,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와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기업의 적극적인 한류 콘텐츠 투자 확대를 유도하여, 한국 문화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